-
무료대세는 'AI'...2차 랠리 임박
-
무료바닥권 주가 턴어라운드 임박 종목
-
무료5/27일 무료추천주
-
무료하반기부터 해외시장 본격 모멘텀 터지는 대박주는?
-
무료신약 흥행, 매출 급증! 주가 탄력은 덤!
-
무료관세 무풍지대에 있으면서 방산 관련 국산화를 시킨 재료가 2개나 있는 기업???? #웨이비스
-
무료주가 턴어라운드 가속 예상...추세적 주가 흐름 상승초입 국면
-
무료현대무벡스
-
무료[19.81%상승, 공략종료]AI산업에 필수적인 전력! 이재명후보에 에너지믹스 수소 관련주! #에스퓨얼셀
-
무료트럼프 장남에 해군성 장관까지 온다!! K-조선 부각! 방문하는 조선소에 필수 자제 납품하는 기업! #케이프
-
무료[8.96%상승, 공략종료]SK USIM 해킹 사태!! 양자내성암호 기반 eSIM 상용화 부각 #아이씨티케이
-
무료2차전지 시장 독보적 기술력 보유
-
무료인벤티지랩을 시작으로 비만치료제 모멘텀 시작~ 급등주는?
-
무료지원 정책 날개 달고 반등 가능성 농후
-
무료정부 28조 청년 일자리 정책 수혜 기대감 #플랜티넷

9월 19일(금) 한 장으로 정리하는 [한대리 증권뉴스]
1. 숫자로 보는 오늘의 시장
| 코스피 | 코스닥 | 다우존스 | S&P500 | 나스닥 |
직전종가 | 3,445.24 | 863.11 | 46,142.42 | 6,631.96 | 22,470.73 |
등락률 | -0.46% | +0.70% | +0.27% | +0.48% | +0.94% |
2. 한 대리의 한 줄 평
“FOMC 금리 인하·엔비디아-인텔 협업 호재에 美 반도체 초강세, 국내는 단기 급등 부담에 숨 고르기”
코스피는 장 초반 사상 최고치(3,467p)를 돌파했지만 외국인(-3,078억)·기관(-3,356억) 동반 매도세에 밀려 3,445.24p(-0.46%)로 마감했습니다.
반면 코스닥은 바이오·성장주 중심 강세 속 863.11p(+0.70%)로 상승 전환하며 연고점 근접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미국 증시는 연준의 금리 인하(25bp) 발표와 엔비디아(+3.5%)·인텔(+22.8%) 협업 소식에 나스닥(+0.94%)·S&P500(+0.48%))까지 모두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3. 오늘(9/19) 마켓 브리핑 (글로벌/국내 증시)
지난 글로벌증시는 연준의 금리 인하 발표 후 위험자산 선호 심리 회복과 반도체 섹터 랠리가 맞물리며 상승했습니다.
엔비디아가 인텔에 50억달러를 투자해 데이터센터·PC용 차세대 칩을 공동 개발하기로 하면서 반도체주 전반이 급등(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3.6%)했고,
마이크론(+5.6%), AMD(-0.7%), TSMC(+2.2%) 등도 동반 등락을 보였습니다.
미 국채금리(10년물 4.11%)와 달러인덱스(97.37)는 고용지표 호조(주간 신규실업수당 23.1만건) 영향으로 동반 상승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장 초반 사상 최고치 돌파 후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코스피는 -0.46% 하락 마감, 코스닥은 +0.70% 상승 마감했습니다.
삼성전자(-1.0%)·SK하이닉스(-0.0%) 등 대형 반도체주는 조정받았지만, 지투지바이오·한미약품 등 비만치료제, 로보티즈·지니언스 등 로봇·보안주는 강세를 보였습니다.
4. 시장 해설
오늘 시장은 FOMC의 보험성 금리 인하(기준금리 4.00~4.25%) 발표와 엔비디아-인텔 빅딜이라는 호재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형 반도체주의 기술적 과매수 구간 진입 및 외국인 차익실현 매물로 조정이 진행되었습니다.
다만 코스닥은 성장주·바이오 섹터의 강세로 연고점 근처까지 상승하며 강한 투자심리를 재확인했습니다.
금리 인하+정책 모멘텀+실적주 랠리가 여전히 유효한 만큼 조정 시 저평가 성장주·주도주의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해 보입니다.
5. 내일(9/20) 꼭 체크해야 할 이슈
트럼프-시진핑 통화 결과 및 관세 협상 진전 여부
10월 FOMC 금리 인하 확률 (현재 98%) 추이
외국인 수급 반전 가능성 및 코스피 3,440선 지지 여부
삼성전자·SK하이닉스·HPSP 등 반도체/소부장 수급 회복 흐름
로봇·보안·비만치료제 등 강세 테마의 연속성
달러인덱스·국채금리 흐름과 외국인 현물·선물 수급 변화
6. 오늘 장 마감 코멘트
“단기 급등에 따른 숨고르기 조정 구간, 금리 인하·정책·실적 모멘텀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반도체/소부장 저평가주 중심의 중기 매수 전략과, 로봇·바이오·보안 등 강한 섹터 중심 단기 트레이딩 접근 병행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이전 글[팍스탁 뉴스레터] 시장대응을 위한 시나리오 (9/22)2025.09.19
- 다음 글[팍스탁 뉴스레터] 시장대응을 위한 시나리오 (9/19)2025.09.19
회원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