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지식인칼럼
  • 공유링크 복사

[팍스탁 뉴스레터] 시장대응을 위한 시나리오 (9/22)

매일 아침 시작하는 증권 인사이트
  • 한대리 / 2025.09.19 19:59
  • 조회수 30
    댓글 0

[팍스탁 뉴스레터] 시장대응을 위한 시나리오 (9/22) 월요일



1. 오늘 시장, 반드시 챙겨야 할 ‘핫 테마’


오늘 시장의 핫테마는 AI·반도체/소부장, 바이오·비만치료제, 로봇, 보안/정보보안, 방산/정책주 입니다.
AI·반도체/소부장은 엔비디아가 인텔에 50억달러 지분 투자, 차세대 칩 공동개발 소식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3.6% 급등,
삼성전자·SK하이닉스·HPSP·티씨케이 등 국내 대형 반도체·소부장 종목의 저평가 매력
부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바이오·비만치료제는 노보노디스크 경구 위고비 효과 입증 소식에 한미약품·지투지바이오·올릭스 등 관련주 강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로봇은 정부의 AI팩토리 제조혁신 투자계획과 로보티즈·에스피시스템스 등 AI 로봇 자동화 수혜 기대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보안/정보보안주는 롯데카드 해킹 사고와 대통령의 ‘해킹 근본 대책 마련’ 지시에 따라 지니언스·소프트캠프·한컴위드 등 강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방산/정책주는 K2 전차 중동 수출 기대감, 대통령 증시부양 의지 표명에 따라 현대로템·SNT다이내믹스·한화에어로 등 방산주 및 정책 수혜주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2. 투자자를 위한 오늘의 시나리오 & 전략


시나리오 ① ‘주도주 중심 조정 후 재반등’
→ 반도체·소부장 등 대형주 차익실현 이후 저점 매수세 유입 가능성. 코스피 3,440선 지지 확인이 핵심입니다.
    주도 업종 분할매수, 급등주 추격매수 자제

시나리오 ② ‘성장주-정책주 순환매 지속’
→ 로봇·보안·비만치료제 등 정책·뉴스 기반 테마 장세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뉴스·수급 변화 실시간 체크, 분할매도 병행

시나리오 ③ ‘외국인 수급 불안·변동성 확대’
→ 미 국채금리 상승(10년물 4.11%)·달러 강세(97.37)로 외국인 매도 지속 가능성.
    현금 비중 일부 확보, 중소형주는 수급 위주 선별 대응



3. 경제/산업 이슈 한 눈에 보기


지난 미국 증시(*9/18 기준)는 연준의 25bp 금리 인하 발표엔비디아·인텔 협업 호재에 힘입어
다우(46,142.42, +0.27%), S&P500(6,631.96, +0.48%), 나스닥(22,470.73, +0.94%)
등 주요 지수가 모두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3.6% 급등, 인텔(+22.8%)·엔비디아(+3.5%)·마이크론(+5.6%) 등이 강세를 주도했습니다.
주간 신규실업수당(23.1만건)과 9월 필라델피아 연은지수(23.2)가 예상치를 상회하며 고용지표 개선이 확인됐습니다.


국내 증시는 코스피(3,445.24, -0.46%), 코스닥(863.11, +0.70%)으로 엇갈렸습니다.
외국인·기관 동반 매도(-3,000억 이상)로 대형 반도체주는 조정받았지만, 바이오·로봇·보안 등 성장주는 강세를 보이며 코스닥은 연고점을 재차 경신했습니다.



4. 다음주의 핵심 Q&A


Q1. 반도체주는 추가 상승 가능할까?
→ 단기 과열권 진입했지만 실적·정책 모멘텀은 유효, 조정 후 재상승 가능성 높습니다.

Q2. 외국인 매도세는 추세 전환일까?
→ 단기 차익실현 성격이 강하며, 추세 전환으로 보기는 이릅니다.

Q3. 성장주 랠리는 이어질까?
→ 정책·테마 이슈 지속 시 단기 랠리 가능. 다만 수급 이탈 시 급락 가능성 유의해야 합니다.

Q4. 내일장 전략 키포인트는?
→ 반도체·로봇 등 주도 업종 중심 분할 접근, 급등주는 이익실현 병행, 수급·뉴스 모니터링 필수입니다.



5. 다음주의 코멘트


“FOMC 금리 인하·엔비디아-인텔 협업 모멘텀은 지속, 조정 후 재상승 흐름에 대비할 시점입니다.”
주도 업종 중심 분할 접근과 단기 급등주 이익실현 병행, 정책/테마주는 뉴스·수급 기반 단기 트레이딩 전략이 유효합니다.

QUICK MENU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수익률 계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