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증권/금융
  • 공유링크 복사

[이슈] 은행권, ‘서비스형 뱅킹’ BaaS로 수익 다변화 시동..."구조적 수익 대안"

  • 19일 전 / 2025.06.20 17:09 /
  • 조회수 50
    댓글 0
- 우리은행 ‘이음’ 정식 오픈
- 신한·국민은행도 BaaS 강화
- BaaS는 구조적인 수익 대안

은행들이 '서비스형 뱅킹(BaaS, Banking as a Service)'을 통해 수익원 다변화에 집중하고 있다. BaaS는 은행이 보유한 오픈 API, 인증·결제 시스템 등 금융 인프라를 외부 기업에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비금융 기업도 자체 플랫폼 내에서 계좌 개설, 송금, 결제 등의 금융 기능을 쉽게 탑재할 수 있다.

우리은행 ‘이음’ 정식 오픈 

20일 은행권에 따르면 디지털 금융의 진화 속에서 은행들이 새로운 수익모델로 BaaS에 주목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최근 BaaS 전용 오픈 API 플랫폼 ‘이음(E:UM)’을 정식 오픈했다. 오픈 API는 외부 앱과 은행 시스템을 연결해 사용자가 앱 안에서 계좌를 개설하거나 이체를 할 수 있게 해주는 디지털 연결창구다.

‘이음(E:UM)’은 외부 기업이 우리은행의 금융 기능을 직접 연동해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개방형 디지털 플랫폼이다. 계좌조회, 이체, 대출, 인증, 환율, 결제·정산 등 다양한 금융 기능을 지원한다. 특히 ‘이음’은 단순한 API 제공을 넘어 전용 비즈니스 포털을 통해 개발자·기획자·사업자 간 제휴와 협업 제안도 가능하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소상공인과 스타트업의 금융 접근성 확대, 비금융기업의 디지털 경쟁력 강화 등 포용적 플랫폼 경제 기반을 조성할 것"이라며 "API 제공 범위를 금융 전반으로 확대하고, 외부 기업의 API 입점도 유도해 산업 간 융합이 가능한 디지털 생태계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신한·국민은행도 BaaS 강화

신한은행은 현대모비스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BaaS 사업을 확대 중이다. 특히 B2B(기업 간) BaaS 모델에 집중, 대기업을 포함한 법인 고객 기반을 확대하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신한은행은 현대모비스의 부품 유통 플랫폼을 통해 자동차 부품 협력사를 대상으로 한 금융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외에도 위즈돔·SK이노베이션 E&S와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신한은행은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에 기업 BaaS 모델을 적용하고 버스 운송사업자들의 금융 접근성을 개선해 친환경 버스 전환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KB국민은행도 오픈 API를 활용한 기업금융 비대면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

기업 Open API는  제휴사가 기업고객에게 제공 중인 업무용 프로그램에 제휴사 고유의 UI/UX로 금융서비스를 탑재할 수 있도록 각종 API를 제공하고 개발 SDK를 지원한다. 대면 중심의 기존 기업금융에서 벗어나, API 기반으로 자동화된 금융 서비스 접점을 마련해 기업 고객의 접근성과 업무 효율을 높이려는 것이다.

BaaS는 구조적인 수익 대안

금융당국 역시 경쟁 활성화를 위해 BaaS 관련 규제 완화를 검토 중이다. 따라서 제도 시행 전부터 플랫폼을 구축해온 은행들의 시장 선점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규제 완화 이후 은행의 BaaS 시장 진출 기회와 서비스 활용 범위가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고금리와 부동산 대출 중심 수익 구조에 의존해온 은행들은 최근 금융당국의 예대마진 축소 압력과 금융소비자 보호 규제 강화로 인해 수익 다변화 압박에 직면하고 있다. 이 가운데 BaaS는 수익의 경로를 플랫폼으로 옮길 수 있는 구조적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안소영 우리금융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은행은 이자이익에 편중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잠재적 고객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BaaS를 활용할 수 있다"며 "BaaS 모델을 통해 은행을 포함한 금융회사는 수수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최종 고객이 자사 금융 상품으로 유입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QUICK MENU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수익률 계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