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산업/재계
  • 공유링크 복사

엔켐, 기술·공급망 동시 강화…ESS 수요 폭발에 LFP 전해액 주도권 경쟁

  • 오래 전 / 2025.08.08 09:21 /
  • 조회수 98
    댓글 0
[사진=엔켐]
[사진=엔켐]

이차전지 소재 전해액 선도기업 엔켐이 지난해 말부터 북미와 중국을 중심으로 LFP 전해액 공급을 본격화했다고 8일 밝혔다. 해당 LFP 전해액은 에너지저장용(ESS) 배터리에 주로 사용된다. 현재까지 10건 이상 글로벌 프로젝트가 병행되고 있으며 각국 고객사와의 협업도 사양 협의, 샘플 테스트, 공동개발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 중이다.

 

이번 프로젝트들은 전기차뿐만 아니라 ESS에 탑재될 LFP 배터리용 전해액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북미, 유럽, 아시아 전역에서 사업화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지난해부터는 인도 Top2 고객사들과도 LFP 배터리용 전해액 공급을 협의하고 있다. 현지 주요 배터리 제조사들과 협력이 초기 단계에서 본격화되고 있으며, 장기적인 파트너십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기술 차별화 전략도 병행되고 있다. 최근 자체 설계 및 합성에 성공한 신규 첨가제(P 기반 첨가제)는 무기계 저저항성 피막을 형성해 배터리 수명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국내외 배터리 메이커를 통한 기술 검증을 진행중이며, 해당 기술은 특허 출원해 독자기술에 대한 보호를 받을 수 있어 산업 경쟁력 강화와 수입 대체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해당 기술은 지난달 14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첨단기술제품 확인서를 획득했다.

한편, 최근 북미 주요 배터리 제조사가 ESS용 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하면서, 중국산 소재를 배제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실제로 일부 중국계 전해액 업체들이 공급망에서 제외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으며, 북미에 생산 거점을 보유한 비중국계 공급사들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점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ESS 중심 에너지 저장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중국 기업에 대한 견제가 본격화되는 분위기”라며 “현지에 생산거점을 둔 공급사들이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엔켐 관계자는 “시장 수요 확대에 맞춰 고도화된 기술과 생산 경쟁력을 기반으로 프로젝트 성사에 힘을 쏟고 있다”며 “전기차 중심에서 ESS로 빠르게 확장 중인 글로벌 LFP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QUICK MENU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수익률 계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