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산업/재계
  • 공유링크 복사

샤페론, 원형탈모 치료제 전임상 결과 공개...'회복률 74%로 게임체인저 기대'

  • 오래 전 / 2025.09.24 23:58 /
  • 조회수 27
    댓글 0
▲
▲호필수 샤페론 전무가 2025 유럽 피부과학회의 샤페론 포스터 앞에서 참석한 연구자들에게 원형탈모치료제 연구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샤페론이 자체 인공지능(AI) 신약개발 플랫폼 ‘에이든(AIDEN)’을 통해 발굴한 원형탈모 치료제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유럽 피부과학회에서 공개하며, 글로벌 학계와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샤페론은 원형탈모 치료제 ‘SH1010337’이 전임상시험에서 면역조절을 통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제약 업계 최초의 ‘GPCR19’ 표적 기반 원형탈모 치료제라는 점에서 게임체인저로 평가받고 있다.

SH1010337은 샤페론이 10여년간 축적해온 ‘염증 복합체(Inflammasome)’ 데이터를 인공지능이 학습해 도출한 혁신적 물질이다. 샤페론의 독자적 AI 플랫폼 AIDEN은 방대한 데이터셋을 바탕으로 GPCR 19와 같은 난해한 표적까지 과학적으로 설계·발굴할 수 있도록 했다.

탈모는 일반적으로 호르몬 영향에 따른 ‘남성형 탈모’와 자가면역 반응으로 인한 ‘원형 탈모’로 구분된다. 이 중 원형 탈모는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킬 뿐 아니라 초기 국소 부위에서 시작해 두피 전체, 경우에 따라 전신까지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치료 난이도와 재발률이 높은 데다 현재 사용중인 JAK 저해제는 부작용, 장기 치료의 안전성, 가격 부담, 치료 중단 시 재발 등 한계로 인해 중증·소아 환자군 등에서는 여전히 미충족 수요가 크다.

치열한 탈모 치료제 개발 경쟁 속에서 샤페론은 오랜 GPCR19 연구를 바탕으로 면역 제어를 통한 세계 최초의 원형탈모 치료 기술을 선보였다. SH1010337은 염증 복합체 과활성을 억제하고 조절 T세포(Treg)를 증가시켜 자가면역 반응에 의한 원형탈모 모델에서 두피 면역체계 정상화와 모낭 재생 촉진 효과를 입증했다.

대표적인 전임상 원형탈모 모델인 ‘LNC(림프절 유래 세포)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SH1010337은 탈모 부위(탈모반)를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경쟁 약물인 JAK 저해제가 약 62%의 회복률을 보인 반면 SH1010337은 74%의 회복률을 기록해 우수한 효능을 확인했다. 기존 치료제 대비 뛰어난 면역조절 및 모발 재생 효과와 함께 기존 치료제에 수반되던 광범위한 면역억제와 재발 위험을 줄일 가능성을 보여줬다.

특히 후보물질 발굴 과정에는 샤페론의 AI 플랫폼 AIDEN의 고도화된 성능이 집약됐다. 탐색 속도를 기존 신약 대비 획기적으로 단축했을 뿐 아니라, 활성, 독성 예측, 화학적 물성 설계까지 자체 알고리즘과 대규모 데이터셋 학습으로 구현했다.

샤페론 관계자는 “자체 AI 기반 GPCR19 표적 치료제는 면역 균형 회복과 장기적 안전성에서 JAK 저해제 대비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번 전임상 연구를 통해 원형탈모 치료를 넘어 자가 면역질환질환 전반으로 확장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SH1010337의 모체가 되는 아토피 치료제 누겔(NuGel)이 바르는 약으로 미국 임상 2상과 국내 임상 2상 시험에서 우수한 항염증 효과와 안전성이 검증됐기 때문에 SH1010337의 인체 안전성도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QUICK MENU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수익률 계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