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증권/금융
  • 공유링크 복사

자본연 "한국 증시, 높은 할인율·저수익률로 저평가 심화"

  • 오래 전 / 2025.09.24 19:34 /
  • 조회수 30
    댓글 0
자본시장연구원 CI.
자본시장연구원 CI.

한국 시장의 평균 할인율(디스카운트)은 11.5%로 선진국은 물론 신흥국보다도 높은 수준이라는 자본시장연구원(KCMI)의 분석이 나왔다. 

자본시장연구원은 한국 주가가 다른 나라에 비해 저평가되는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낮은 수익성, 제도에 대한 신뢰 부족, 단기 성과 중심 투자 등 복합적 요인에서 기인했다고 진단했다. 

24일 김민기·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서울 여의도 금투센터에서 개최한 'KCMI 이슈 브리핑'에서 '주식시장 할인율 국제 비교와 코리아 프리미엄 과제'를 주제로 이같이 밝혔다. 

김민기 연구위원은 전 세계 59개국 주식시장의 자본비용을 추정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 주식시장의 상대적 평가 수준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한국 시장의 자본비용은 선진국은 물론 다수의 신흥국보다 높은 수준에서 형성됐다. 반면 성장기업이 실제 달성한 주주 수익률은 이에 현저히 미달한 수준이었다. 

한국 주식시장의 할인율은 평균 11.5%로 선진국(8.9%), 신흥국(10.9%) 평균을 상회했다. 한국 시장이 장기간 실제 달성한 실현수익률(TSR)은 연평균 7.3%에 불과해 투자자가 요구하는 수익률에 현저히 미달했다. 

주요 선진국과 신흥국에서는 TSR이 요구수익률을 일정 부분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 등은 "타 국가 대비 높은 요구수익률과 낮은 실현수익률의 지속적인 격차는 할인율이 구조적으로 높게 형성됐음을 보여주는 징후며 한국 시장의 만성적인 저PBR(주가순자산비율) 현상을 설명하는 단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런 높은 할인율은 낮은 자본효율성과 수익성, 제도적 신뢰 기반의 취약성, 단기 성과 중심의 투자자 행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에 김 연구위원 등은 한국 상장기업이 저PBR를 해소하고 코리아 프리미엄으로 전환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두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우선 높은 요구수익률을 달성하기 위한 기업 차원의 전략적 대응이다. 또 자본비용 자체를 낮추기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 병행이다. 
 

QUICK MENU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수익률 계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