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산업/재계
  • 공유링크 복사

제이엘케이, "미래 뇌졸중 연구의 패러다임 제시"...'ISGC 2025'서 'AI기반 신경영상 분석'키노트 발표

  • 오래 전 / 2025.09.29 09:53 /
  • 조회수 12
    댓글 0
▲제이엘케이, ISGC 2025 키노트 발표로 글로벌 뇌졸중 연구의 'AI 전환' 선언
▲류위선 제이엘케이 최고의학책임자(CMO)가 ISGC 2025 워크숍에서 AI 기반 신경영상 분석을 주제로 키노트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제이엘케이(대표 김동민)는 지난 25일 세계적인 뇌졸중 유전체 컨소시엄인 ISGC 2025 워크숍에서 'AI 기반 신경영상 분석'을 주제로 키노트 발표를 진행하며, 미래 뇌졸중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제이엘케이 류위선 최고의학책임자(CMO)는 이번 발표를 통해 차세대 글로벌 임상 연구에서 AI가 수행할 핵심적인 역할을 제시하고, 전 세계 석학들의 깊은 공감을 이끌어냈다.

특히 향후 뇌졸중 연구가 다국가·다기관의 대규모 데이터 기반으로 진화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이 집중적으로 조명됐다. 각기 다른 인종, 의료 환경, 영상 장비에서 얻어진 방대한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일관성 있게 분석하는 것이 기존 방식으로는 한계에 부딪혔다는 것이다.

류위선 CMO는 이에 대한 유일하고 현실적인 해법으로 AI 기술을 제시했으며, 발표 후 이어진 토론에서 세계적인 석학들은 향후 국제 공동 임상연구의 성공을 위해선 AI 기반의 표준화된 영상 분석이 필수적이라는 데 깊이 공감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제이엘케이의 AI 솔루션은 국적이나 의료기관에 상관없이 뇌졸중 영상 데이터를 객관적이고 일관되게 분석할 수 있는 독보적인 강점으로 주목받았다.

제이엘케이 관계자는 “이번 키노트 발표는 단순히 우리 제품을 소개하는 자리가 아니었다. 다국가 임상과 빅데이터 시대에 AI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석학들의 공감을 얻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이러한 국제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제이엘케이가 차세대 뇌졸중 연구의 핵심 파트너로 성장할 잠재력을 증명한 것”이라고 밝혔다.

제이엘케이는 이번 학술 워크숍 발표를 통해 제이엘케이 솔루션의 우수성과 실제 적용 가능성에 대한 각국 의료 관계자들의 이해도가 높아지면서, 향후 보험수가 확보의 중요한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일본 내 유통 계약 및 구독형 서비스 모델도 본격화하고 있어 매출 확대에 긍정적인 반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전망했다.

제이엘케이 관계자는 “ISGC 2025 워크숍에서 확인된 국제적 관심은 당사의 기술력이 세계적으로 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향후 글로벌 임상 확산과 상용화 전략을 가속화해 매출 성장을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QUICK MENU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수익률 계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