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산업/재계
  • 공유링크 복사

[1분영상] "2035년 무공해차 목표, 현실 반영해야"…車부품업계 생존 위기 호소

  • 10일 전 / 2025.10.13 16:47 /
  • 조회수 17
    댓글 0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이 정부가 논의 중인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수송부문 무공해차 보급 목표'와 관련해 자동차부품업계 입장을 담은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조합은 ▲현실을 반영한 목표 설정 ▲내연기관 부품기업 존폐기로(存廢岐路)와 고용 위기 ▲HEV·e-fuel 등 다양한 감축수단의 병행을 통한 연착륙 필요성을 호소했습니다.

[씽크] 이택성 /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이사장
"자동차 부품 업계는 미국의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고율 관세 부과와 국내외 복합적인 악재로 이미 상당한 경영상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가 추진 중인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수송부문 무공해차 보급 목표가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수준으로 설정될 경우, 이는 업계에 2중·3중의 치명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 자동차산업은 1만여 개에 달하는 국내 부품기업 중 45.2%(4,615개사)가 내연기관 관련 부품(엔진·변속기·연료·배기계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해당 기업 종사자는 전체 고용의 47.2%(약 11만 5천명)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제시한 2035년 무공해차 보급 목표에 의하면 2034년부터 내연기관차 판매가 사실상 전면 중단되어야 가능하나, 자동차부품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부품기업의 사업 전환율은 19.9%에 불과했습니다. 이 외 72.6%에 달하는 많은 기업은 부품 특성상 사업 다각화 또는 미래 대응에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합은 이러한 현실을 반영해 550~650만대(20% 내외) 수준으로 목표를 조정하는 것이 산업·고용 충격을 최소화하면서도 국제적 책무를 이행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라고 제시했습니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내연기관 부품기업은 산업 생태계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축"이라며 "급격한 전환이 추진될 경우 대규모 구조조정과 고용 불안이 가중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덧붙여 "전기차·수소차 중심의 획일적 전환을 지양하고, HEV·PHEV·탄소중립연료(e-fuel) 등 다양한 기술대안을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QUICK MENU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수익률 계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