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증권/금융
  • 공유링크 복사

[이슈] '370만명 신용사면' 카드사들, 재연체 리스크 예의주시..."건전성 관리에 집중"

  • 6일 전 / 2025.10.17 19:41 /
  • 조회수 17
    댓글 0
- "신용사면, 매출 확대 기대보다 재연체 걱정”
- "리스크 관리 강화, 카드 발급도 보수적으로"

정부의 신용사면 조치와 맞물려 카드사들은 '재연체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물론 신용회복 고객들의 카드 사용 확대를 기대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시 연체 할 수 있다는 사실부터 걱정해야 하는 게 현실이다. 카드사들은 건전성 관리를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 "신용사면,  매출 확대 기대보다 재연체 걱정”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융위원회는 2020년 1월부터 올해 8월까지 발생한 5000만원 이하 연체 채무를 연말까지 전액 상환한 개인과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신용 회복 조치를 시행했다. 이번 조치로 개인 295만명, 개인사업자 75만명 등 총 370만명의 신용이 회복됐다.

이 가운데 257만7000명은 즉시 연체 이력이 삭제됐다. 상환 중인 112만6000명도 연말까지 채무를 모두 상환하면 신용점수가 평균 30~40점 상승한다. 단기적으로 보면 카드사는 신규 회원 유입과 매출 확대를 기대할 수 있어 긍정적이다.

신용이 회복된 차주가 카드 이용이나 카드론을 재개하면 카드사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렇다고 큰 기대를 하긴 어렵다. 오히려 신용사면 뒤 재연체 위험을 걱정해야 할 처지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통상 신용사면 후 3~5개월 사이 연체율이 다시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고 우려했다.

국민의힘 이양수 의원실 자료를 보면, 지난해 286만7964명이 신용사면을 받았다. 그리고 3명 중 1명꼴인 95만5559명이 다시 연체를 기록했다. 카드사 연체율이 2014년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만큼, 카드사들은 이번 신용사면의 여파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 "리스크 관리 강화, 카드 발급도 보수적으로"

A카드사 관계자는 "사면 대상자의 구체적 정보는 카드사가 사전에 보유하지 않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기존 회원의 건전성을 관리하는 데 집중하고, 연체 발생 시 조기 감지 및 대응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재차 채무 불이행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리스크 관리 강화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B 카드사 관계자는 "신용점수 회복 고객의 재연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따라서 기존 신용평점 체계에서 전통적 지표의 가중치를 낮추고, 대안평가 모델의 비중을 높여 고위험 차주 유입을 방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카드 발급 요건이 더 까다로워질 수도 있다. 연체이력이 삭제돼 신규 고객의 상환 능력과 의지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C 카드사 관계자는 "연체율 상승은 대손비용 증가로 직결되기 때문에, 카드 발급 요건을 기존보다 보수적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D 카드사 관계자는 "신용사면 고객도 잠재적 회원층인 만큼, 장기적인 시각에서 안정적인 회원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도록 하겠다"며 "아울러 인공지능(AI) 기반 리스크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재연체 가능성을 면밀히 관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QUICK MENU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수익률 계산기